반응형

주식시장 2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 특징 정리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종목의 주식이 거래되기 때문에 어떤 주식은 가격이 올라가고 또 어떤 주식들은 가격이 떨어지기도 한다. 주식시장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주식가격이 올랐는지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index)가 필요하다. 주가지수를 작성하는 원리는 물가지수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 지수작성의 목적에 맞추어서 특정 종목의 주식을 대상으로 평균적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인지 하락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코스피(KOSPI) 국내 종합주가지수로 유가증권시장본부(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이다. 시장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 증권거래소는 1964년 1월 4..

금융 2023.12.09

공매도가 무슨 뜻일까? (공매도 뜻, 영향, 장단점, 주식시장)

흔히 경제뉴스를 보거나 주식을 하는 사람이면 공매도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여기서 공매도란 무엇이며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 오늘은 공매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으로,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즉,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기는 것이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영어로 숏 셀링(Short selling), 줄여서 숏(Short)은 재화를 미리..

금융 2023.11.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