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소득 2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 대상자, 세금

금융소득 종합과세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의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하는 제도로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부의 재분배를 촉진하고 조세 형평성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됐다. 1996년부터 금융실명제의 후속조치로 도입되었으나 1997년 말에 발생한 외환위기 등으로 전면 유보하였다가 2001년 1월 1일부터 다시 실시되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개인별 금융소득(이자·배당소득)이 연 2000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해 누진세율을 적용하는 제도다. 2000만원 이하 금액은 15.4%(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로 분리과세되지만 초과분은 다른 소득과 합산해 6.6~49.5%의 소득세율을 적용한다. 금융소득종합과세는 부부합산하여 연간 금융소득이 4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하여 다른 종합소득..

금융 2024.01.13

비과세종합저축 뜻, 가입조건, 한도 등 총정리!

정기예금 금리가 6% 정도까지 올랐다가 지금은 다시 4~5%대로 떨어졌다. 예전처럼 2%대의 금리는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높은 금리로 예금하기 위해 열심히 알아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저축할 때 금리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과세, 세금우대가 되는지 알아보고 해당된다면 그 혜택을 놓치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비과세종합저축 총정리" 비과세종합저축이란? 비과세종합저축은 금융 상품 중 하나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저축 상품이다. 노인, 장애인 등에 대하여 1인당 5,000만원 이내에서 거치식, 적립식 상품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하고 한도 내에서 여러 금융기관과 거래할 수 있으니 해당되는 사람이라면 비과세 먼저 가입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

금융 2023.11.11
반응형